글로스퍼에는 김태원이를 비롯한 몇몇 임원들이 있고 이 몇몇이 하이콘재단의 돈을 사적으로 사용한 내역이 찾아서 글을 써본다
일단 하이콘 재단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하이콘 재단은 글로스퍼라는 업체가 ICO를 통해 모은 BTC(비트코인),ETH(이더리움)을 관리 하기위해 만든 재단이다.

하지만 하이콘 재단의 대표는 김태원이다.

글로스퍼의 대표도 김태원이다.
애초에 시작은 그당시 대세인 블럭체인을 이용해 BTC(비트코인)처럼 전자화폐를 만들어 돈을 모으고 그 돈으로 사업을 시작하려는 좋은 의도가 있었다.
1차 ICO를 했을시 모인자금은 그당시 BTC(비트코인) 시세로 600억원. 하지만 이 모인 자금은 김태원의 개인지갑(Wallet)에 들어갔다.
이당시 김태원을 포함 글로스퍼 임원들을 BTC(비트코인) 및 모든 전자화폐의 가격이 폭등하자 재단의 돈을 활용하여 가상화폐를 투자하고 그로 인해 얻은 수익은 자신들이 먹고 다시 재단의 돈을 채워 넣는 방법으로 원상복구할 계획을 짠다.
하지만 BTC(비트코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자화폐가 폭락하며 가상화폐 투자로 사적이익을 얻으려 했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고 결국 투자로 인한 재단 돈까지 손해를 보게 된다.
손해를 매꿀려고 계속 투자를 하지만 장기적으로 전자화폐가 하락하면서 결국 재단돈을 말아 먹고 만다.
그리고 한가지 더 있다. 김태원과 그 일당들은 자신들의 업체인 글로스퍼가 외부로부터 좋은 이미지를 받기 위해 하이콘재단과 글로스퍼업체와의 계약을 맺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글로스퍼의 대표가 김태원이고 하이콘재단의 대표가 김태원이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여러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수익 구도를 만들었지만 그 수익은 티끌에 지나지 않았고 결국 하이콘 재단돈을 움직일수 있었던 김태원이가 글로스퍼와 하이콘 재단의 계약을 통해 회계적으로는 글로스퍼가 순수익이 나온것처럼 위장을 한것이다.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하이콘ICO할 당시 지갑이 누구의 지갑인지. 그리고 이 지갑의 돈이 어디로 흘러 들어갔는지를 파악해보면 될것이며 필자는 이 부분에 대해서도 다 확인을 했고
하이콘 재단의 돈이 글로스퍼 김태원과 임원들의 개인지갑으로 흘러들어가 심지어 대한민국 국내 대형 거래소인 빗썸(Bithumb)와 업비트(Upbit)의 개인지갑으로 흘러 들어간것을 포착했으며 또한 그 당시 일당들의 거래소 개인지갑에 BTC(비트코인)과 ETH(이더리움)뿐만 아니라 별 잡다한 코인들이 1인당 50억원어치가 담겨져 있는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빗썸(Bithumb)와 업비트(Upbit)는 BTC(비트코인) 폭등당시 국내 정부에서 전자화폐거래에 대해 가장계좌 거래에 대해 규제로 인하여 원화입금대비 출금에 제한을 두었지만
외부로부터 BTC(비트코인)이나 ETH(이더리움)이 입금되었을대는 BTC(비트코인), ETH(이더리움) 출금을 무한대로 할수 있도록 했었다.
이 일당들의 계획을 다시 정리 하자면 ICO모은 하이콘 재단돈을 활용하여 전자화폐에 투자하고 재단돈을 제외한 나머지 수익을 자신들의 소유 하려고 했으나 실폐하였고 결국 재단돈은 사라지고 자신들 배만 채우게 된것이다.